جستجو در بخش : سوال جواب منابع اسلامی لغت نامه ها قوانین و مصوبات نقل قل ها
×

فرم ورود

ورود با گوگل ورود با گوگل ورود با تلگرام ورود با تلگرام
رمز عبور را فراموش کرده ام عضو نیستم، می خواهم عضو شوم
×

×

آدرس بخش انتخاب شده


جهت کپی کردن میتوانید از دکمه های Ctrl + C استفاده کنید
رویداد ها - امتیازات
در حال بارگذاری
×

رویداد ها - امتیازات

برای بررسی عملکرد فعالیت و امتیازات خود باید در وب سایت وارد باشید. در صورت عضویت از بخش بالای صفحه وارد شوید، در غیر این صورت از دکمه پایین، مستقیم به صفحه ثبت نام وارد شوید.

×
×
کد تخفیف اسنپ تاکسی با 50% تخفیف! دریافت کد


0
0
2456
اطلاعات بیشتر واژه
واژه زبان کره ای
معادل ابجد 296
تعداد حروف 9
منبع واژه‌نامه آزاد
نمایش تصویر زبان کره ای
پخش صوت

زبان کره‌ای (به کره‌ای: 한국어/조선말) زبان رسمی دو کشور کره شمالی و کره جنوبی است. کره‌ای همچنین یکی از دو زبان رسمی در منطقه خودمختار کره‌ای یانبیَن در کشور چین است. در حدود ۸۰ میلیون گویشور زبان کره‌ای همراه با گروه بزرگی در استرالیا، برزیل، کانادا، چین، ژاپن، ایالات متحده، جمهوری‌های شوروی سابق و اخیرا فیلیپین وجود دارند.


در مورد طبقه‌بندی زبان کره‌ای در گروه‌های زبانی، اختلاف نظر وجود دارد. برخی از زبان‌شناسان آن را در خانواده زبان‌های آلتایی قرار می‌دهند و برخی دیگر آن را زبانی تک‌خانواده به شمار می‌آورند. کره‌ای از لحاظ ساخت‌واژه (صرف)، یک زبان پیوندی و از لحاظ ترکیب جمله (نحو) جزو گونه زبانی «نهاد مفعول فعل» است. زبان کره‌ای همانند زبان‌های ژاپنی و ویتنامی، در خصوص وام‌واژه‌های چینی از این زبان تاثیر گرفته‌است.

واژه‌های اصیل کره‌ای در حدود ۳۵٪ واژگان این زبان را تشکیل می‌دهند، در حالی که در حدود ۶۰٪ واژگان زبان کره‌ای را واژه‌های «چینی-کره‌ای» (واژگان چینی یا واژگانی که ریشه چینی دارند) به خود اختصاص داده‌اند. ۵٪ باقیمانده، شامل وام‌واژه‌های دیگر زبان‌هاست که ۹۰٪ آنها از زبان انگلیسی وارد شده‌اند.













الفبا

تا حدود سال ۱۴۴۳میلادی زبان کره‌ای با سیستم نگارش چینی که آنرا در کره‌ای هانجا(한자/漢字)، معادل هَنزی یا خَنزی در چینی و کانجی در ژاپنی مینامندنوشته می‌شد.امّا از آن سال سیستم نگارشی جدیدی به نام هانگول(한글)که مبتنی بر یک سیستم الفبائی است به وسیله شاه سِه جُونگ اختراع شد و اکنون این زبان با این نوع الفباء نوشته می‌شود.البته هنوز هم از علائم چینی یا همان هانجاها بصورت تشریفاتی یا در جهت اهداف تحقیقاتی (تاریخی و ادبیات)استفاده می‌شود.اهمیت و شاید حتّی بشود گُفت قداست این خط(هانگول)در بین مردم کُره بحدی است که در هردو کره روزی که خط هانگول اختراع شد به نام روز هانگول(در کره جنوبی به نام한글날 و در روز۹اکتبر و در کره شمالی به نام조선글날/朝鮮글날 و در روز۱۵ژانویه) تعطیل رسمی است و بدین منظور جشنواره‌های متعددی به خصوص در کره جنوبی برگزار می‌شود.

حروف صدادار: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ㅏاین حرف صدای آ می دهد.

ㅑصدای یا می دهد

ㅓ این حرف صدایی بین ُ و آ کوتاه می دهد که بیشتر شبیه ُ است.

ㅕ این حرف صدای یُ میدهد که ُ آن مثل حرف قبلی تلفظ می شود

ㅗ این حرف صدای ُ می دهد که کمی به او کوتاه هم شبیه است

ㅛ این حرف صدای یُ میدهد اما ُ آن مثل حرف قبل تلفظ می شود

ㅜ این حرف صدای او کشیده(بلند) می دهد

ㅠ این حرف صدای یو میدهد که حرف و یا او آن مثل حرف قبل تلفظ می شود

ㅡ این حرف صدای او کوتاه میدهد

ㅣاین حرف صدای ای کشیده(بلند) میدهد



حروف بی صدا: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ㄱ این حرف صدای ک یا گ میدهد

ㄴصدای ن میدهد.



ㄷصدای ت یا د میدهد



ㄹ صدای ر یا ل میدهد.



ㅁ صدای م میدهد


ㅂ این کلمه صدای ب یا پ می دهد


ㅅ این کلمه صدای س و ش می دهد


ㅇ این کلمه صدایی ندارد البته اول کلمه ولی در وسط

کلمه خیر

ㅈ این حرف صدای چ یا ج میدهد

ㅊاین حرف فقط صدای چ میدهد

ㅋ این حرف صدای ک میدهد

ㅌ این حرف صدای ت میدهد

ㅍ این حرف صدای پ میدهد

ㅎ این حرف صدای ه میدهد

برخی از اسم های فارسی به کره ای

احسان 엫산

سحر 사하르

یاسمن 야사만

بهاره 바하레

ساحل 사헬

سارا 사라

مهشید 맣싣

شکیلا 사키라

ضحی 조하

حانیه 하니예

نفیسه 나피세

سراج 세랒

سپیده 세피데

اسم خود را به لیست بالا اضافه کنید

منابع

مشارکت‌کنندگان ویکی‌پدیا، «Korean language»، ویکی‌پدیای انگلیسی، دانشنامهٔ آزاد. (بازیابی در ۲ مه ۲۰۰۸).
زبان‌های مردم جهان، میشل مالرب، مترجم: عفت ملانظر، شرکت انتشارات علمی و فرهنگی، تهران ۱۳۸۲
آموزش زبان کره ای
رده‌ها: زبان‌های استرالیازبان‌های ایالات متحده زبان‌های پیوندی زبان‌های چین زبان‌های ژاپن زبان‌های کانادازبان‌هاکره جنوبی کره شمالی

قس عربی

اللغة الکوریة (بالکوریة:한국어)، (النطق:Hangugeo, Chosŏnmal)، (هی اللغة المستخدمة فی شبه الجزیرة الکوریة، وهی لغة رسمیة فی کوریا الشمالیة وکوریا الجنوبیة. اللغة تُحکى أیضا فی إقلیم یانبیان الصینی.
حول العالم هناک 78 ملیون متحدث اللغة الکوریة، معظمهم فی أسترالیا، الولایات المتحدة، کندا، البرازیل، الیابان والفلبین بالإضافة للکوریتین.
الحروف

가(ga) 나(na) 다(da) 라(ra) 마(ma) 바(ba:
사(sa) 아(a) 자(ja) 차(cha) 카(ka) 타(ta) 파(pa) 하(ha)
هذه بذرة مقالة عن اللغویات تحتاج للنمو والتحسین، فساهم فی إثرائها بالمشارکة فی تحریرها.
تصنیفات: لغات أسترالیالغات کندالغات الیابانلغات الولایات المتحدةلغات معزولةلغة کوریةلغات الصینلغات کوریا الجنوبیةلغات کوریا الشمالیةلغات إلصاقیة

قس ترکی آذری
Koreya dili (한국어, 조선어 Hangugeo, Chosŏnŏ). Koreya Xalq Demokratik Respublikasının və Cənubi Koreya dövlətinin rəsmi dövlət dillidir.


Bəzi mənbələrdə Altay dillərilə, digər mənbələrdə isə tunqus-mancuriya dilləri ilə genetik qohumluğu fərz edilir. Koreya dili tərkibcə altı dialektə bölünür: şimal-şərqi, şimal-qərbi, mərkəzi, cənub-şərqi, şərq-
qərbi və, nəhayət, Çedcudo adasmda işlənən dialekt.
Tarixən yazısı 1446-cı ildən bu yana məlumdur. Çin yazı sisteminə əsaslanan Han qul-yazısıdır. Koreya dilinin fonoloji sistemi 40 fonemdən ibarətdir. Bunlardan 19-u samit, 21-i isə sait fonemlərdir. Koreya dili nominativ quruluşlu aqqlütinativ dillərdən hesab olunur.
Dil ilə əlaqədar bu məqalə qaralama halındadır. Məqaləni redaktə edərək Vikipediyanı zənginləşdirin.


g • m • r
Koreya dili

Kateqoriyalar: Dil qaralamalarıKoreya diliKoreya dilləriÇin dilləri

قس ترکی استانبولی
Korece, Kore yarım adasında ve komşu Yanbian özerk bölgesinde (Çin) yaygın olarak kullanılan bir dildir ve hem Kuzey Kore hem de Güney Korenin resmi dilidir.
Dünyada, eski SSCB, Avustralya, ABD, Kanada, Brezilya, Japonya ve Filipinlerdeki göçmen komünitelerle birlikte toplam 78 milyon Koreli vardır. Korece ve Korelilik özdeşleşmiştir.
Korecenin kökeni uzun süre belirlenememişti ve uzmanlar Altay Dillerine bağlı olduğunu düşünüyorlardı. Yakın zamanda bu kanıtlandı. Ancak hangi kola bağlı olduğu hala belirlenemedi.
Korece, konuşulan dilin adıdır. Koreliler tarih boyunca Hanja adını verdikleri Çince yazı karakterlerini kullanmıştır; günümüzde ise ağzın ve dilin aldığı şekle göre karakterize edilen Kore alfabesi Hangul kullanılmaktadır. Güney Korede çocuklara halen 1800 adet Çince karakter öğretilmektedir.
Korece ünlü uyumu

Korece ünlü uyumu
Aydınlık Ünlüler (밝은 모음, 밝은 母音, Balgım moım) ㅏ (A) ㅗ (O) ㅘ (Oa, va) ㅑ (Ya) ㅛ (Yo)
ㅐ (Ä, ae) ㅚ (Ö, oe) ㅙ (Oä, Oae, vä, vae) ㅒ (Yä, Yae)
Karanlık Ünlüler (어두운 모음, 어두운 母音, ɔduun moım) ㅓ (ɔ, ıo) ㅜ (U) ㅝ (Uo, vo) ㅕ (Yıɔ, yıo) ㅠ (Yu)
ㅔ (E) ㅟ (Ü, vi) ㅞ (Ue, ve) ㅖ (Ye)
Neutral/Centre Vowels ㅣ (İ, i) ㅡ (I, ı)
ㅢ (Iy, ıy)
















Kaynakça

^ "Korean". Ethnologue, 14th ed.. 2008-09-25 tarihinde erişildi.
Dış bağlantılar

Ethnologue report for Korean
Kategoriler: Eklemeli dillerJaponyadaki dillerAvustralyadaki dillerKorenin ulusal sembolleriKorece

قس کره ای
한국어(韓國語)는 한국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한국말이라고 부른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조선족 위주)을 비롯한 등지에서는 조선말, 조선어(朝鮮語)로, 카자흐스탄을 비롯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로 불린다.
19세기 이후 한반도와 주변 국가의 정치 사회적 변화에 따라 한국어는 중국(특히 옌볜 조선족 자치주), 일본, 러시아 (특히 연해주와 사할린),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미국, 캐나다 등지의 한국계 주민들이 사용하고 있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 제국의 문화 말살 정책으로 핍박받기도 했다. 한국어 사용 인구는 전 세계를 통틀어 약 7,800만 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목차
‘한국어’의 여러 명칭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어의 호칭 문제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를 지칭하는 말로, 정식 명칭인 한국어(韓國語)를 위시한 국어(國語), 한국말, 우리말, 우리나라말 등을 사용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어’라는 정식 명칭을 사용한다.
중화인민공화국 • 일본 • 베트남 등 한자 문화권에 속하는 아시아 국가들에서는 남북 분단 전의 국가 이름을 기준으로 조선어(朝鮮語)에 해당하는 명칭을 쓰기도 했지만, 대한민국의 경제력 발전과 더불어 대부분의 지역에서 한국어(韓國語), 한어(韓語) 등에 해당하는 명칭을 쓰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및 중화민국 등 중화권 국가에서는 "조선어"(차오씨엔위), 일본에서는 "한국어(韓国語(かんこくご: 캉꼬꾸고))"라고 한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한국어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입니다.


한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지금 바로 이 문단을 편집하여, 참고하신 문헌이나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주석 등으로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오랜 기간 분단된 만큼 언어상의 특징도 차이가 있다. 가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건데기나 지팽이와 같이 ㅣ의 모음 역행 동화를 인정하는 경향이 크며, 대한민국에서 인정하는 두음 법칙이 관찰되지 않기 때문에 여자, 염원, 노동 대신 녀자, 념원, 로동과 같은 낱말을 사용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성격의 문체나 구어체를 활용하고, 대통령과 같은 최고 지위에도 존칭을 붙이지 않는 경우가 흔한 반면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어감이 강한 표현을 많이 쓴다. 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찔리우다와 같이 대한민국에 비해 보조용언을 겹쳐 쓰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접미사 들을 많이 쓰는 경향도 있다.
어휘면에서는 특히 많은 차이를 보이며, 외래어 수용에 큰 거리낌이 없는 대한민국에 반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말다듬기로 고유어가 많다. 하지만 과거 얼음보숭이를 쓰던 것에 비해 오늘날 대부분 아이스크림이라고 쓰는 것을 볼 때, 외래어도 어느 정도 받아들이는 추세이다.
음운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어 음운론입니다.
모음
다음은 대한민국 표준어를 기준으로 한 모음의 표기이다.
음소 대표적인 음성 적요 예
/ㅏ/ 전설 비원순 저모음, 중설 근저모음1 /ai/ 아이
/ㅓ/ 후설 비원순 중저모음2 /ʌdi/ 어디
/ㅗ/ 후설 원순 중고모음 /oi/ 오이
/ㅜ/ 후설 원순 고모음 /uɾi/ 우리
/ㅡ/ 후설 비원순 고모음 /gɯ/ 그
/ㅣ/ 전설 비원순 고모음 /ima/ 이마
/ㅐ/ 전설 비원순 중저모음3 /hɛ/ 해
/ㅔ/ 전설 비원순 중고모음3 /nue/ 누에
/ㅚ/ 전설 원순 중고모음3 /sø/ 쇠
/ㅟ/ 전설 원순 고모음3 /y/ 위
↑ 전설 모음 기호 a는 전통적으로 한국어의 중설 모음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일반적으로 와 비슷한 소리를 낸다.
↑ 서울 방언의 /ㅓ/는 완전한 비원순 모음이 아니라 원순과 비원순의 중간적인 발음이다. 이에 반해 평양 방언에서는 이 모음을 로 소리낸다.
↑ 가 나 다 라 한국에서는 거의 모든 지역에서 노년층을 제외하고 /ㅐ/와 /ㅔ/의 구별이 상실되어 동일한 소리로 발음된다. 그 음성은 와 의 중간 소리다. 또 서울 방언과 평양 방언 모두 단모음 음소로서 /ㅚ/, /ㅟ/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들 방언에서 /ㅚ/는 보통 (평양 방언에서는 )로 나타나며 /ㅟ/는 로 나타난다. 따라서 단모음의 종류가 가장 적은 서울 방언 화자의 경우 단모음은 일곱 가지(/ㅏ, ㅓ, ㅗ, ㅜ, ㅡ, ㅣ, ㅔ/)밖에 없다.
자음
양순 치경 치경구개 권설 경구개 연구개 성문
비음 m n ŋ
파열음 p b t d k ɡ
마찰음 s ɕ ç x h ɦ
파찰음 ʨ ʥ
탄음 ɾ
접근음 w j ɰ
설측음 ɭ ʎ
음운 체계
양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파열음 평음 ㅂ (b/p) ㄷ (d) ㅈ (j/ʨ) ㄱ (g/k)
경음 ㅃ (p͈) ㄸ (t͈) ㅉ (j/ʨ͈) ㄲ (k͈)
격음 ㅍ (pʰ) ㅌ (tʰ) ㅊ (ch/ʨʰ) ㅋ (kʰ)
마찰음 평음 ㅅ (s) ㅎ (h)
경음 ㅆ (ss͈)
비음 ㅁ (m) ㄴ (n) ㅇ (ŋ)
유음 ㄹ (l)
/s/는 , 나 앞에서는 가 된다.
/h/는 . 나 앞에서는 , 앞에서는 가 된다.
/p, t, č, k/는 , , , . 모음 사이, 비음 뒤에서는 , , , 가 된다.
/l/는 모음 사이에서는 , 어말에서 또는 겹으로 날 때는 . 겹으로 날 때 나 앞에서는 가 된다. 어두에서는 음가가 없어진다.
위의 표에서 평음. 경음, 격음은 기식성에 의해 나눈 것이고, 긴장성에 의해 무기 연음. 무기 경음. 유기 경음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형태 음소론

조사의 형태는 앞의 소리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은/는, 이/가, 을/를과 같이 음절이 바뀌는 경우도 있고, 에서/서, 으로/로와 같이 음절이 끼어드는 경우도 있다. 으로/로의 경우 ㄹ 뒤에서 독특한 형태를 보인다.
한국어 조사
자음 뒤 ㄹ 뒤 모음 뒤
-의 -의 -의
-은 -은 -는
-이 -이 -가
-을 -을 -를
-으로 -로 -로
형태 음소론적 차이는 일부 동사에서도 관찰된다.
어휘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어의 고유어, 한국어의 한자어, 한국어의 외래어입니다.
한국어의 어휘는 크게 고유어("순 우리말"), 한자어, 외래어로 분류된다. 고유어는 한국어의 기층을 형성하는 고유의 어휘로, 보통 한자어와 외래어를 제외한 단어그룹을 가리킨다. 사용 빈도가 높은 일상어가 대부분 고유어에 속한다. 고유어의 일부는 매우 이른 시기에 들어온 상고중국어에서 유래되어 고유어로 인식되는 어휘가 있고(붓-筆, 먹-墨), 후대에 한자어의 형태가 일그러지면서 본디 말과 다른 의미를 획득하여 고유어로 인식되는 어휘도 있다(사냥"山行, 짐승"衆生). 고유어는 익숙하고 친근하게 느껴지는 반면, 같은 뜻의 한자어와의 경쟁에서 밀려나 단어의 위상이 하락한 경우도 있다. 음운적으로는 ㄹ소리로 시작되는 토착어휘가 없으며, 이는 알타이 제어의 음운론적 특징의 하나이기도 하다.
한자어는 고전 중국어에서 유래된 어휘군으로 중국과의 접촉에 따라 지속적으로 한국어에 침투하였으나 한자어의 비율은 사전이나 자료마다 차이가 있다. 적으면 50%에서 많으면 70%까지로 추산된 것은 일제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가능한 많은 낱말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과장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또한 국어사전이 수록하는 한자어의 상당수는 한문 문장에만 용례가 있고, 한국어에서는 용례가 발견되지 않는 단어들이다.
이는 중국에서 받아들인 지 오래되어 외래어처럼 인식되지 않는 고전 한어(한문)기원의 한자어와, 한국에서 독자조어된 한국제 한자어, 메이지시대의 일본이 서양문물을 받아들이면서 서양의 개념을 번역해낸 일본제 한자어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한자어는 본질적으로는 외래어이지만, 한국어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특수하고,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다른 외래어와 달리 별도 분류한다. 마치 영어에서 라틴어, 프랑스어를 거쳐 들어온 문화어휘가 차지하는 비중과 비슷하다.
근대 이전에 중국어 이외의 외국어에서 받아들인 어휘는 불경을 통하여 간접 차용된 산스크리트어(한자어 형태로 들어왔기 때문에 한자어로 분류되기도 함), 몽골어, 만주어, 일본어 등에서 소수의 차용어가 있다.
외래어는 중국어 이외의 외국어에서 받아들인 어휘로 특히 개화기 이후에 유럽어에서 들어온 말이 주로 여기에 해당된다. 그 대부분필요은 영어에서 받아들인 단어이지만,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네덜란드어 단어 같은 기타 유럽어 단어에서 온 단어도 있으며, 일본어를 거쳐서 들어온 경우, 원어의 의미와 달라진 경우도 있다. (이를테면 아르바이트(Arbeit))
문자

이 부분의 본문은 한글, 이두, 향찰, 구결입니다.
한반도에서 처음 사용된 문자체계는 한자이다. 한문과 한자문화가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시기는 확실치 않으나, 대략 한사군 시절을 전후하여 이미 한반도에서 한자, 한문이 유입되어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한문 유입 이후, 고유명사 표기 등 한국어 표기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1934년 경주에서 발견된 임신서기석(壬申誓記石)은 어순이 한문어순이 아닌 한국어 어순에 따라 배열되어 한자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여러 고안이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이 임신서기석에 사용된 변칙한문체를 서기체(誓記體) 또는 의국체(擬國體)라고 한다.
단, 단음절어이며 고립어인 중국어를 표기하는 한자는 다음절어이며 교착어인 한국어의 표기에 적합하지 않아 한자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표기하는 방법인 이두, 향찰, 구결 등은 소멸하거나 제한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화되지 못하였다. 지배계급은 한자를 이용하여 구어인 한국어를 표기하기보다는 문어체의 한문을 고수하려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구어(한국어)와 문어(한문)의 이중체계가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현재 한국어 표기에 쓰이는 문자인 한글은 세종대왕이 창제하여 훈민정음이라는 명칭으로 1446년 반포된 것에서 유래한다.
훈민정음 창제 원리에 대한 설이 여러가지 있었으나 1940년에 《세종어제 훈민정음》이 발견되면서 발성 기관을 본떠 만들어졌다는 것이 밝혀졌다. 정인지는 훈민정음 반포 서문에서 "癸亥冬. 我殿下創制正音二十八字. 계해년 겨울에 우리 전하께서 비로소 정음 28자를 창제하시다" 라고 적고 있다. 최만리 등의 상소에서 옛날의 전문(篆文)을 모방했다고 말한 부분이 있으나, 같은 상소에서 설총의 이두에 대하여 여러번 언급하고 있으나 가림토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으며, 상소에서 "언문(諺文)을 제작하신 것이 지극히 신묘하와 만물을 창조하시고 지혜를 운전하심이 천고에 뛰어나시오나", "가령 언문이 전조(前朝) 때부터 있었다 하여도"라는 구절로 보아 한글은 세종이 직접 만들었으며, 이전에는 한글과 같은 문자는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세종실록 24년 12월조) 결국 훈민정음을 폐하자고 주청한 이 상소는 세종을 분노하게 해서 상소를 제기했던 최만리•신석조•하위지•송처검•조근는 2일 간 하옥시키고, 정창손은 파직시키고, 김문은 국문에 처했다. 이러한 정황 때문에 훈민정음 이전에 가림토가 있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한글은 각 자모음이 하나의 기호로 표시되는 표음문자이다. 그 전에는 삼국시대 혹은 그 이전부터 사용된 한자와 이를 한국어 표기에 맞게 단순화하여 응용한 향찰, 구결, 이두가 한국어의 기록 수단이었다. 한자 사용은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도 계속되었으며 1894년 갑오개혁 이후에야 공문서에 한글이 쓰이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글로 글을 쓰며 일부 한자어는 한자로 표기(국한문혼용)하기도 하지만 한자는 갈수록 쓰이지 않는 추세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중국 옌볜, 구 소련 지역에서는 한자를 거의 쓰지 않고 가급적 순 한글로 한국어를 표기한다.
1930년대 초반 소련에서는 여러 소수 민족 언어를 대상으로 한 로마자 표기 정책의 일환으로 한국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안을 승인했지만, 실제 로마자 표기안이 마련되어 생활에 적용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국어 문자생활에서 로마자로 한글•한자를 대체하려던 방안으로 외국인들을 위한 한국어 고유명사의 표기에 쓰는 현재의 로마자 표기 규범과는 큰 차이가 있다. 다만, 현대 한국어에서는 로마자 두문자어 표기와 일부 고유 명사 표기에 로마자를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기도 하다.
존비어체계

한국어는 영어나 중국어 등 다른 대부분의 언어와 다르게, 낮춤말과 평어, 높임말이 존재하는 존비어체계로 구성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어에서 사용하는 거의 대부분의 동사와 명사는 존비어체계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되어 있다. 따라서 화자간에 존댓말(높임말)과 반말(평어, 낮춤말)대한 합의가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의사 소통을 할 때 어색하고 혼란스러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언어와 호칭선택 문제 때문에 갈등과 폭력이 유발되기도 한다. 따라서 한국어의 호칭과 어법이 권위적, 계급적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대화체에서 한국어는, 영어와 달리 한국어는 2인칭 호칭어인 너(you), 당신을 극히 제한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으며, 상대방에 대한 호칭을 정해야 한다는 점이 독특하다.
방언(方言)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어의 방언입니다.


잠자리를 부르는 여러 가지 말.


한국어의 방언은 경기 방언, 영동 방언, 서북 방언, 충청 방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제주어, 동북 방언, 중국조선말, 재일 한국어 등으로 나눈다. 경기 방언과 충청 방언을 중부말로 합쳐 일컫기도 한다. 제주도에서 쓰는 제주어를 제외하고는 모든 방언이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정도의 차이를 보인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제주어를 한국어에서 분화된 독립된 언어로 보기도 한다.필요 대한민국의 표준어는 경기 방언을 바탕으로 하고 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표준어인 문화어는 서북 방언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등 영어 사용 국가로의 이민이 늘어나면서 이민 2세와 같이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계 외국인들이 영어를 번역한 듯한 한국어(번역체)를 사용하기도 한다.
소멸 위기
유네스코(UNESCO)는 전문가를 제주에 파견, 현장 방문과 답사, 한국어를 전공하는 전문가와의 의견 교환, 각 지역 언어를 담당하는 유네스코 언어 전문가와 토론 과정 등을 거쳐, 2010년 12월 제주어를 5개의 소멸 위기 단계 중 4단계인 아주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로 분류했다.
한국어 계통 논란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어의 계통입니다.
한국어 계통에 대해서는 핀란드 언어학자 람스테드가 알타이어족설을 처음으로 제시한 것을 비롯하여 일본어, 중국어, 아이누어, 드라비다어족과의 동계설은 물론, 인도유럽어족의 동계설까지 제기되었다.
20세기 후반까지는 우랄-알타이 계통설이 지지를 받았는데, 우랄-알타이어족이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으로 나뉘게 된 뒤에는 알타이 계통설이 가장 가능성이 큰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알타이어족을 이루는 주요 언어인 투르크어와 몽골어 사이의 유사관계가 많은 부분 어휘차용에 근거하는 등 알타이어족 사이에서도 눈에 띄는 유사점을 발견하기 어렵고, 결정적으로 기초 어휘의 일치 및 음운대응규칙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고립된 언어내지는 한국어족으로 보고있다.
알타이어족설
한국어가 몽골어, 퉁구스어, 터키어 등과 함께 알타이어족에 속한다고 보는 견해이다. 한국어를 알타이어족의 하나로 보는 입장에서는 한국어의 다음과 같은 속성을 근거로 든다.
모음조화가 존재한다.
용언에 굴절이 있는 교착어이다.
주어, 목적어, 동사의 어순을 가지는 S-O-V 어순의 언어이다.
어두에 특정 자음이 쓰이지 않는 두음법칙이 존재한다.
모음교체, 자음교체, 문법적 성(性), 어두자음군이 없다.
그러나 한국어는 알타이어족이 가지는 전형적인 특성 외에 다른 특성을 공유하지 못하기도 한다. 이는 한국어가 조기에 알타이조어에서 분리되었다는 가설을 성립하게 하였다. 한국어가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언어임을 부정하는 주장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 알타이 어족 가설 자체에 해당하는 것이기도 하다.
알타이 제어에는 기초 어휘인 신체 지칭이나 친족 명칭어가 유사한 것이 거의 없다.
기초 어휘로서 대명사의 일부만이 유사하고, 수사가 거의 다르다.
음운대응의 규칙성이 정확하지 못하고, 믿을만한 것이 부족하다.
알타이 제어의 언어 구조는 매우 유사하지만, 차용어를 제외하면 공통된 요소가 매우 적다.
문법 요소의 일부 유사성으로는 알타이 제어의 친근성을 증명하기에 충분하지 않음. 역사적으로 밀접한 접촉을 가졌고, 서로 강력한 영향력을 끼친 결과, 언어구조가 유사해졌고, 차용어로 인하여 공통요소가 생겼을 가능성이 있다.
대한민국의 학교에서는 현재 한국어가 알타이 어족과 가까운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가르치고 있다.
극동아시아어족설
한국어 이외에도 몽골어, 퉁구스어, 터키어, 일본어, 만주어까지 한 어족으로 보는 가설이다. 해당 다섯 개의 언어와 한국어가 유사하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
한-일어족설
한국어와 일본어 사이의 문법적인 유사성이 많다는 데에서 나오는 설이다. 부여어족설 등의 구체적인 가설이 나왔으나, 고대 한국어 자료가 부족하여 가설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노우에 키요시(井上 淸)는 일본어가 친족관계를 가질 가능성이 있는 것은 오직 한국어 뿐이고, 그렇다면 공통의 조어에서 갈라진 시기를 언어연대학으로 조몬시대 중기 이전으로 추정했다.
비알타이어 기층설
한국의 언어학자인 김방한이 제시한 가설로, 한국어 기층에 원시 한반도어라고 부르는 정체불명의 비알타이어 기층이 있고, 그 위에 알타이어계 요소가 덮인 것이거나, 그 반대로 비알타이어가 알타이 기층에 덮여서 한국어의 뼈대가 형성되었다고 보는 가설이다. 그는 원시 한반도어와 계통적 친연성이 있는 언어로 편의상 고시베리아어족으로 분류되어 있는 니브히어(길랴크어)를 지목하였다.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및 자격 시험

미국, 중국, 일본, 프랑스, 폴란드, 카자흐스탄, 러시아 등지에서는 한국어를 배우려는 사람들도 생겼다. 이는 한국의 경제 성장에 따른 국제적 위상의 확대와 한류 등의 문화적 영향력의 전파에 힘입은 바가 크다. 그러나 아직 아시아 언어 중에서는 중국어나 일본어에 비해 학습자의 수가 적은 편이며, 체계적인 교수법이나 교재도 부족한 형편이다. 과거에는 영어, 일본어 등 유럽, 미주 및 일본을 중심으로만 한국어 학습용 교재가 발간되었으나, 근래에는 한국어 학습 동기의 다변화와 국내 외국인 수의 증가로 중국어, 타이어, 인도네시아어, 베트남어 등 다양한 언어로 한국어 교재가 발간되고 있다.
미국 정부회계감사원이 발표한 미국 국무부 외국어 직무수행 평가서에 따르면, 중국어, 일본어, 아랍어와 더불어 한국어를 미국인이 가장 배우기 힘든 언어로 분류하고 있는데, 이는 인도유럽어족인 영어와 한국어의 여러 상이점에 따른 것이며, 절대적 난이도는 아니라필요고 여겨진다.
한편, 한국어를 배우는 대부분의 외국인들은 한국어를 학문으로서 배운다.
한국어 검정시험
대한민국
대한민국에는 현재 한국어 능력을 검정하기 위한 시험이 몇 가지 있다. 국어능력인증시험(Test Of Korean Language;TOKL) 한국어능력시험(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 TOPIK) KBS 한국어능력시험(Korean Language Test) 등이 있다.
일본
일본의 네 가지 한국어 시험 가운데 일본에서 비교적 널리 알려진 시험은 한글능력검정시험과 한국어능력시험이다. 한글능력검정시험을 뺀 나머지 모든 시험은 대한민국 표준어 시험이기 때문에 표준어가 기준이며, 이와 다른 문화어의 맞춤법이나 어법은 오답으로 처리된다.

한글능력검정시험
일본의 특정비영리법인 한글능력검정협회가 주최하는 자격시험으로 6월경(년 2회)에 실시한다. 일본의 한국어 학습자에게 가장 잘 알려진 시험이다. 5급이 가장 낮은 급수이고 4급"3급"준2급"2급"1급순으로 급수가 올라간다. 일본국내에서만 통용되며 등급이 영어검정(일본)시험과 거의 같기 때문에 영어검정시험과 비교대조되는 경우가 있다. 2006년부터 "준 1급"이 없어졌다. 1, 2급은 문제의 지문을 포함하여 모든 글이 한국어로 표기되어 있다. 또한 이 시험은 답을 적을 때 대한민국이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든 어느 한쪽으로 일관성있게 통일되어 있으면 정답으로 간주한다. 근래 한류 붐의 영향으로 초급 수험자는 상당히 증가했으나 반대로 1,2급 등 고급 레벨에서는 수험자 수가 매우 적다. 2004년 전후에 상급의 시험 문제는 난이도가 계속 상승하는 반면, 3급 이하의 급수는 합격률이 90%를 넘나들게 쉬워지는 현상이 일어났다. 그러나 2006년 다시 출제 기준과 난이도 조정이 이루어진 결과, 낮은 급수도 난이도가 대폭 상승하여 현재에 이른다. 이러한 난이도의 유동에 따라 자격 시험으로서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한국어능력시험(TOPIK)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주최하고 교육과학기술부가 인정하는 자격시험으로 매년 4월과 9월에 실시된다. (한국에서는 2007년부터 일본에서는 2008년부터 연 2회 볼 수 있게 되었다) 한글능력검정시험과 달리 1,2급이 초급이고 3,4급이 중급, 5,6급이 고급단계이다. 한국, 일본 외에 세계 28개국에서 실시되는 국제적 시험이다. 수험자수가 가장 많은 국가는 중국이고 두 번째가 일본이다. 외국인이 한국의 대학교, 대학원에 입학할 때 이 시험의 성적증명서의 제출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한국의 많은 외국인 대상 어학당에서 이 시험의 결과로 반을 편성한다.
세계한국말인증시험(KLPT)(일본어: 世界韓国語認証試験
せかいかんこくごにんしょうしけん
)
한글학회가 주최하는 자격시험으로 4월 10월에 실시된다. 2006년까지는 1,4,7,10월의 연 4회 실시되었으나, 2007년부터 연 2회로 단축되었다. (수험자 수가 적은 것이 원인으로 추측된다) 평가는 500점 만점의 점수제로 토익과 같은 형태이다.
한국어 레벨테스트(KLT)
점수제이고 1000점 만점이다. 시험시간은 90분이고 비교적 단시간에 시험을 볼 수 있다. 한국,일본외에 중국과 미국에서도 수험이 가능하다. 2004년부터 개시되었지만 2009년 1월 시험 실시가 정지되었다.
같이 보기

한문
한자
한자 문화권
국어 순화
한국어의 품사
발음하기 힘든 한국어 문장
긴 한국어 낱말
한국어 사전
한글
주석

↑ 《한국사》1권-총설, 국사편찬위원회, 2002, p.406
↑ 연합뉴스. “알쏭달쏭 한글ㆍ한국어에 대한 상식”, 《네이버뉴스》, 2009년 10월 11일 작성. 2010년 12월 14일 확인.
↑ "우리말 70%가 한자말? 일제가 왜곡", 한겨레,



↑ 한국 방언 자료집 - ASX,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 제주어 유네스코 소멸위기 언어 등록홍정표《연합뉴스》2011-01-17
↑ 국사 편찬 위원회, 국정 도서 편찬 위원회 (2006년 3월 2일). 《고등학교 국사》. 서울: (주)교학사
↑ 박경리, 박경리 선생 유고 ‘일본산고(日本散考)’ 전문 , 동아일보
↑ Koh Young-aah (2010년 7월 20일). More foreigners study Korean academically (영어). The Korean Hereld. 2010년 8월 5일에 확인.
↑ 세계한국말인증시험 웹사이트 2000년에 위원회를 발족한 세계한국말인증시험(KLPT)은 2001년부터 한글학회 주관하에 미주, 유럽, 동남아 등 40여 곳에서 시험을 실시해 왔다.
바깥 고리

한국 고전 번역원
국립국어원
v • d • e • h한국어
v • d • e • h고립어
분류: 고립어 (비교언어학)한국어대한민국의 언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언어중국의 언어한국의 상징

قس چینی
维基百科,自由的百科全书
本文介绍的是朝鮮民族的通用語文。
關於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對該語文的稱呼及使用,詳見「文化語」。
關於大韓民國對該語文的稱呼及使用,詳見「大韓民國標準語」。
汉漢▼
朝鲜语/韩国语
조선어 / 한국어
使用国家及地区 朝鲜半岛、中国东北地区朝鮮族民族自治地方
使用人數 7.8千万
排名 13(与越南语、泰卢固语、马拉地语、泰米尔语排名接近)
語系 有爭議,
孤立语言或属於阿尔泰语系
官方地位
作为官方语言 韩国
朝鲜
中国延邊朝鮮族自治州和長白朝鮮族自治縣
管理机构 韩国:国立国语院
朝鲜:社会科学院语学研究所
中国:东北三省朝鲜语文工作协作小组
語言代碼
ISO 639-1
ko
ISO 639-2 kor
Ethnologue
第14版: KKN
ISO 639-3 分別為
kor – 韓語/朝鮮語
oko – 古朝鮮語
okm – 中期朝鮮語
注意:本頁包含 Unicode 的 國際音標。
朝鲜语(조선어 Joseon-eo/朝鮮語*/?),或称韩国语(한국어 Hangug-eo/韓國語*/?),简称朝语或韩语,是朝鲜族的通用语言,通行於朝鮮、韓國兩國及中國、俄羅斯的朝鮮族聚居地等地區。
目录
語言名稱問題

在大韓民國,上述語言正式稱為「한국말、한국어」(Hangukmal,Hangugeo,「韩国語」的意思);在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和中華人民共和國,上述語言正式稱為「조선말、조선어(音:Joseonmal,Joseoneo,「朝鲜語」的意思)。這裡的「말」(mal)為朝鮮語固有詞,「話、語」的意思,「어」(eo)則為朝鮮語漢字詞,其對應的漢字為「語」。傾向使用固有詞的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多使用含「말」的「조선말」,而大韓民國多在正式場合使用含「어」的「한국어」。另外,意為「國語」的漢字詞「국어(gugeo、國語)」、朝鮮語固有詞「我們的話」的意思的「우리말(urimal)」也常被使用。
在歷史上的朝鮮半島,1392年之前(高麗國)該語言被稱為「高麗語」,1392年,李成桂建立「李氏朝鮮」之後,該語言稱做「朝鲜語」。 1897年,朝鮮高宗李熙稱帝,改國號為「大韓帝國」之後,該語言稱為「韩国語」或「韓語」。 二戰後,朝鮮半島北部的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稱之為「朝鲜語」,而朝鮮半島南部的大韓民國稱之為「韩国語」或「韓語」。
在中國,1897年大韓帝國成立以前,只存在「朝鲜語」的稱呼。 中華人民共和國1949年建國以後,將同屬社會主義陣營的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視為朝鮮半島全體的唯一合法政府,因此,當時將所有關於朝鮮族的國家、民族、語言和文化的稱呼前冠以「朝鲜」二字,該語言也被稱為「朝鲜語」。但是,1992年中華人民共和國與大韓民國建立邦交後,與韓國的直接交流發展很快,韓國資本大量流入中國大陸,充滿韓國式的詞匯和文字的語言學課本、辭典等幾乎都冠以「韩国語」的名稱以發行。這些導致「韓語」、「韩国語」的稱呼現在在中國大陸非常普遍。另外,由於延邊一帶朝鮮族的民族名稱為「朝鲜」,儘管中國朝鮮語同朝鮮的朝鮮語存在微小的差異,但仍多以「朝鲜語」稱呼他們的語言。現在對朝鮮語的定義開始改變,即「韩国語」一般特指使用在韩國的語言,而「朝鲜語」則通常特指使用在朝鲜的語言。而這也是日本人在對待這兩個名稱的所採用的方式。根據最近一次(2008年9月份)的網絡統計數據來看,中國大陸網絡上“韓語”一稱的使用頻率遠遠超過“朝鲜語”稱呼,在現實生活中亦是如此。中國大陸教育部製定的《全國普通高等學校本科專業目錄》中,同時存在朝鮮語專業和韓國語專業,分別設置不同的專業代碼;《普通高等學校高職高專教育指導性專業目錄》中,僅存在應用韓語專業。由於多種方面的原因,中國大陸大學的外語專業裡面大多以“朝鮮語”作為正式稱呼,但也有例外,如中央民族大學就一直以“韓國語”作為正式稱呼。同時,幾乎所有冠以“朝鮮語”的專業,其教學內容都是以韓國標準語爲準。以大陸外語界名校“北京第二外國語學院”的朝鮮語係為例,其“基礎朝(鮮)語”系列課程所用教材是《標準韓國語》系列;其“朝(鮮)語閱讀”系列所用教材是韓國出版的《韓國語讀本》(第4、5、6冊);其“經貿朝(鮮)語”課程所用教材是《外貿韓國語》。許多大陸公立大學朝鮮語專業的師生,時常也會以“韓語專業”自稱。中國大陸高校開設的二外課程,也僅使用“韓語”的名稱。在中國大陸的教材出版方面,幾乎都使用「韓(國)語」的稱謂,只有專門面向中國朝鮮族的教材才使用「朝鮮語」的表述。中國大陸的外語培訓機構也只有「韓(國)語培訓」,而沒有「朝鮮語培訓」。中國大陸的企業招聘翻譯時大多表述為需要「韓(國)語翻譯」,極少採用「朝鮮語翻譯」的表達方式。
在日本,人們傳統上使用「朝鮮半島」、「朝鮮民族」等稱呼,同樣也以「朝鮮」的名稱冠於「朝鮮語」來稱呼該語言,學術場合、專家之間也主要使用「朝鮮語」的稱呼。另一方面,由於日本同大韓民國的交流更為緊密些,因此,日本人現在使用「韓國語」的情況也很多。為了表示中立,日本人也使用「コリア語」(音:koriago,「コリア」為英文「Korea」的音譯。英文的「Korea」可以泛指南北任何一方)、「 高麗語」、「韓國・朝鮮語」和迴避語言名稱的文字名稱「ハングル(語)」(hanguru (go),「ハングル」為「韓字」的意思)。但是,「韓字」為諺文在現代韓國的稱謂,同樣的文字在北韓被稱為「朝鮮字」(조선글),因此,此稱呼的中立性也受到人們的質疑。
在越南,由於同屬漢字文化圈,越南語中也存在類似於中國、日本、南北韓的「朝鮮語名稱問題」。歷史上,越南人多稱該語言為「tiếng Triều Tiên」(漢喃:㗂朝鮮,「朝鲜語」的意思)。近代以來,越南與韓國曾兩次建立外交關系,分別為越南共和國(南越)和現在的政權越南社會主義共和國。近些年,由於大韓民國與越南社會主義共和國在經濟、社會、文化等方面交流更為密切,「tiếng Hàn Quốc」(漢喃:㗂韓國,「韩国語」的意思)、「tiếng Hàn」(漢喃:㗂韓,「韓語」的意思)、「Hàn ngữ」(漢喃:韓語) 的稱呼也越來越普遍。
蒙古語對該語言的稱呼為「Солонгос」(發音為:Solongos)、滿語中該語言的名稱為「Solaho」。這些名稱的由來有很多不同的說法。
多數歐洲語言對該語言的名稱是從「高麗」由來的,如英語的「Korean」、法語的「Coréen」、西班牙語的「Coreano」等,因此,基本不存在漢字文化圈國家的名稱中立性問題。
历史

主条目:古朝鲜语和中世纪朝鲜语
地理分布与方言

主条目:朝鮮語方言和文化語
朝鲜语的使用者绝大多数聚集在东亚的大韓民國与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朝鲜语在这两个国家不仅是国语,而且这两个国家的朝鲜语使用者占了全球朝鲜语使用者的90%以上。在中国东北部的吉林省、黑龙江省和辽宁省,大约居住着两百万的朝鮮族人,现在朝鮮语是中国吉林省延边朝鮮族自治州的两种官方语言之一(另外一种是汉语普通話)。在黑龙江省也有中国唯一的一个省级朝鮮语广播电台。在日本,由於历史的原因,居住着大约七十万的韩裔。朝鲜语虽然在日本不是官方语言,但是很多韩裔後代都会说朝鲜语。此外在美洲,还有大约有一百六十六万来自韩国的移民。
朝鲜语的方言根据行政区域可以分做六种。除了济州方言以外,邻近的方言大都能够通话,但是跨区之间的方言通话就有些困难(比如南方庆尚方言跟北方咸镜方言)。


西北方言,今天文化语(朝鲜)就建立在该方言平壤话之上,實際上播音仍主要偏向開城音,而開城和首爾一樣屬於京畿道方言。通行区域在朝鲜的平壤市、平安北道、平安南道以及慈江道大部,以及中國遼寧省的朝鮮族群。也称平安道方言。
东北方言,通行区域在朝鲜的两江道、咸镜北道、咸镜南道的大部份地區以及慈江道东面的一小部分地区,以及中國吉林省與黑龍江省的朝鮮族群。也称咸镜道方言。
中部方言,通行区域最广、使用人口最多的方言,今天标准韩国语(南韩)就建立在该方言首爾(汉城)话之上。在朝鲜,通行区域包括开城市、黄海北道、黄海南道、江原道、咸镜南道南面的部分地区;在南韩,通行区域包括首尔市(汉城)、仁川市、京畿道、忠清南道、忠清北道、江原道以及全罗北道西北面的一小部分地区。
西南方言,通行区域包括南韩的光州市、全罗南道以及全罗北道的大部份地區。也称全罗道方言。
东南方言,通行区域包括南韩的釜山市、大邱市、庆尚南道以及庆尚北道。是朝鲜语六种方言中唯一仍存留声调的方言。也称庆尚道方言。
济州方言,通行区域在济州道。该方言同其他五种方言差别极大,所以一般都无法跟朝鮮半島的人们通话。
此外,由於文化接触方面,朝鲜语在不同地方的移民的语言亦产生变化。这些移民团体的方言大致如下:
在日朝鲜语:
中国朝鲜语:
在美朝鲜语:
高丽语:俄国人对在俄朝鮮人所讲的语言的称呼。
韩文的变化

总述
朝鮮人在15世纪以前是借用汉字来纪录他们的语言的。谚文(Hangul,Joseongul,即韩契或朝鲜契,韩文或朝鲜文)创制以後的相当长的一段时间裡,一直都没有代替汉字成为书写朝鲜语的文字。到了19世纪末,韩文开始与汉字并书,并且此时的「韩汉混用文」成为了书写朝鲜语的主要方式。 朝鲜半岛独立以後,南北韓政府基於民族性的考量先後开始废除朝鲜语文中的汉字,主张单用韩文书写纪录朝鲜语(即纯文)。北韓自1946年即开始限制汉字的使用,到1949年彻底禁止了汉字;南韓於1948年规定不得於政府公文中使用汉字,到1968年则进一步明令禁止在公文中使用汉字。而新聞報紙在報導某些特訂文字或姓氏時,還是會夾雜漢字用來作為辨認之用,而南韓民眾的姓名,除韓文外則都有漢字,身份證更有漢字姓名,而中国的朝鲜族社会也於1953年开始废除了汉字,单用韩文书写纪录朝鲜语。
谚文创制前的文字使用状况
谚文创制以前,朝鮮人使用汉字纪录书写他们的语言。他们纪录语言的手法有两种: 一种是“口说朝鲜语、手写文言文”,这种纪录手法跟古时的日本与越南一样。由於古时的朝鮮人「崇汉」、「崇儒」的思想浓厚,所以这种纪录语言的方法在上层社会成了主流。
而另一种虽然也是用汉字来书写,但是书写的秩序与规则,必须依照朝鲜语的文法。这种纪录手法又分做「书记式纪录法」跟「吏读式纪录法」两大类。
書記式紀錄法
「书记式纪录法」是将话语中的辞汇用对应的汉字写出来,并且根据朝鲜语的词汇顺序排列这些汉字。 以壬申誓記石里面的文句为例:
原文:二人並誓記 天前誓 今自三年以後 忠道執持 過失無誓
正確漢文書寫:記二人並誓 誓於天前 自今三年以後 執持忠道 誓無過失
现代韩文書写:두 사람이 함께 盟誓하여 記錄한다. 하느님 앞에 盟誓한다. 只今으로부터 三年以後에 忠道를 執持하고 過失이 없도록 盟誓한다.
對照分析:두(二)사람(人)이 함께(幷,一齊) 盟誓하여 記錄한다. 하느님(天,蒼天) 앞(前)에 盟誓한다. 只今으로부터(自) 三年以後에 忠道를 執持하고 過失이 없도(無)록 盟誓한다.
現代漢語翻译:纪录两人一起发誓。在苍天面前盟誓,发誓从今往後的三年,坚守忠诚之道,力求没有过失。
从上面的例子可以看出「书记式纪录法」写出来的文章几乎就是汉文(文言文)。
吏读式纪录法
「吏读式纪录法」不仅用汉字纪录汉字词汇,而且还用汉字的音或意来表达朝鲜语的助词和语尾的发音。根据纪录,此种纪录法是由新罗时期的薛聪首创的,後世的人们又不断的改善此种纪录法的汉字使用方式。这种纪录法一直延用到19世纪末。朝鮮開化期以後,这种纪录法被韩汉夹写文代替。
谚文的创制以及使用状况
1443年,朝鮮王朝的世宗大王召集了集贤殿郑麟趾等学士,根据朝鲜语的音韵结构以及中国音韵学创制了专门纪录朝鲜语音韵的文字。当时这种文字的名字叫做谚文(或彦文),但是政府颁布实行的文件叫做《训民正音》,这个名称遂于朝鲜本国逐渐普及开来,只是中国学术界一般称之为「谚文」而少讲「训民正音」。到了二十世纪初,该文字的另一种名称「한글」(hangeul)开始出现。在朝鲜语裡「한」是「大」的意思、「글」是「文」的意思,所以「한글」可以被理解为「大字」或「伟大的文字」。而在华语学术界,一般用音义结合的方式来翻译这个词。「한(han)」音译做「韩」,「글」则意译做「文」,「한글」就被翻译做「韩文」,而不翻译为「大字」或「伟大的文字」。
关於创制这种文字的动机,人们可以从《训民正音》序章上获得答案:「国之语音,异乎中国,与文字不相流通。故愚民,有所欲言而终不得伸其情者,多矣。予为此悯然,新制二十八字,欲使人人易习,便於日用耳。」 翻译成现代汉语是:「吾国之国语,发音与汉语不同,(语音)不能与汉字完全匹配。因而有众多未受教育者,不能熟谙文字,难以表意达情,吾于此颇为伤感,便新创二十八字,旨在使人人较易习之,以便于日常所需也。」
虽然这种文字是当时上流社会人士创制的,但是它却遭到了上流社会人士的排斥。有的官员甚至要求世宗废除此种文字,他们怕这种文字流传入中国,被当时的中国人嘲笑为「夷字」,而将朝鮮看做是蛮夷之一。当然也有不少的官员在私人的环境里面用这种文字纪录朝鲜语,比如写家书就一般都用这种文字来写。需要说明的是,谚文在字型结构上利於跟汉字夹写,但是当时的朝鲜人是严格区分「谚文」「汉字」两种文字,在实际使用谚文的时候并没有夹写汉字。另一方面,由於妇女普遍较少机会接受教育,她们即使会书写,也大多只会谚文而不会汉字。所以,到了朝鮮中期,虽然官场上仍然使用汉字,但民间及妇女普遍都使用谚文来书写。而到了宣祖末年,当时的御医许浚更着手把汉文的医典用谚文编写解读,以使医术能在民间普及。这些都是谚文在民间流传的一些证据。
谚文在燕山君时期,曾一度被禁止使用。燕山君被推翻後,虽然禁令撤销,但使用谚文的人仍然不多。
近代开化思想和民族主義的影响,朝鮮民族有了新的想法,他们开始将韓文看做是自己民族的文字,并开始提倡使用。1895年甲午更張時“韩汉混用文”(或韩汉夹写文、国汉混用文)被制定大韓帝國的公用文。
二战後的谚文使用状况
二战以後,朝鮮人将谚文作为主要文字,将汉字作为辅助文字书写纪录朝鲜语。1940年代末到1950年代初,三个朝鲜语具有官方地位的国家先後废除了汉字,施行了纯韩文书写政策。

1945年,金日成发出的指示,要求朝鲜共产党(今日朝鲜劳动党的前身)党内所有出版物不要夹用汉字,而应该使用人民大众看得懂的谚文印刷。第二年,北韓就有部分的出版物不再夹用汉字。1947年,北朝鲜的「劳动新闻」开始在部分版面裡使用諺文印刷,而到了1949年则彻底使用纯諺文印刷,这也意味着國漢混用朝鲜语的时代在北韓正式结束。由於北朝鲜特殊的政治体制,废除汉字的政策并没有受到民间与学术界的强烈反对,这项政策一直被北韩政府强制推行到了今天。

在南韩,民众与学术界里面反对纯韓字的势力与支持纯韓字的势力相当,并且每任总统对汉字与韓字的看法又不一致,所以南韩政府时而恢复汉字的使用或并书,时而又用政令的方式要求使用纯韓字,一直摇摆在这两个政策之间。
纯韩文
지금으로부터 삼년 이후에 충도를 집지하고 과실이 없도록 맹세한다.
韩汉并书
지금으로부터 삼년 이후에 충도(忠道)를 집지(執持)하고 과실이 없도록 맹세한다.
韩汉夹写(韩主汉从)
지금으로부터 삼년 이후에 忠道를 執持하고 과실이 없도록 맹세한다.
韩汉夹写(汉主韩从)
只今으로부터 三年以後에 忠道를 執持하고 過失이 없도록 盟誓한다.
1945年,美军临时管制政府的学务部根据韩语教育审议会的意见,在其公布的语言政策中规定的國民學校(即現在的「初等學校」,相等於大中華地區的小學)和中等學校(相等於大中華地區的初中)的教科书不能使用汉字,政府文书也要用纯韓字书写,不得已的情况下可以并写汉字。但是这项政策不触及民间以及社会的文字生活。同时这项政策也成了韩语世界中官方废除汉字的首例。此後的1948年南韩的制宪会议制定了相关的韓字专用的法律,1945年的政策得以延续。1950年,内务部通令容许夹写汉字,但是五年以後该通令被推翻。1970年,根据南韩总统朴正熙的指示,政府强化了韓字专用政策的推行,鼓励出版界使用纯韓字。1974年,文教省公布「教科书韩汉并书方针」,结束了1970年以来的「禁用汉字」的「寒冬」。1999年8月7日,金大中总统发布总统令,要求在必要的情况下并书汉字以确保公务文书的内容准确的传达。现在学习中文的韩国人越来越多,从1945年开始不再使用汉字到1970年解禁汉字,这一时期没有学习汉字的人有很多,随着中国经济的崛起和突飞猛进的发展,以及對本民族歷史文化學習和傳承的認識,汉字越来越受重视,开始了新一轮的学习。
受到政府语言政策的不断变化,汉字政策也遭遇了废除与复活交替的命运。但是汉字政策在总体上还是比较连贯。南韩的汉字政策主要体现在教科书用字上(在南韩称做教育汉字)。1950年南韩文教部公布了一千个教育汉字。七年後,教育汉字扩充到一千三百字。1972年文教部公布了一千八百个基础常用汉字。1991年4月1日大法院又公布了2731个「人名用字」。在南韩,受到纯韩文教育的影响,各级学校的汉字教育不断弱化,但是多数韩国人还是有能力认读常用的汉字。除了专门学科的要求或者专门训练,一般的韩国人已经不能熟练的书写汉字,在电视上,我们不单时常可以看到剧集内同一个历史人物的汉字姓名出现三、四个不同版本,一般的高中生就算用汉字写自己的地址,也经常连一些非常简单的汉字也写错(例如:把“区”字写成“九”字)。电影《頭師父一體》(韓文原名두사부일체,英文片名My Boss, My Hero,香港譯稱隔籬位係古惑仔,中国譯名我的老大、我的英雄)亦以故事主角因为连自己名字的汉字也不會写,所以有重返校园的念头。

在中國,虽然政府也推行纯諺文书写的政策,但是仍然有反对的声音,1958年,在延边语文研究会准备委员会的一项关於是否恢复汉字的调查中,主张恢复的意见成了优势意见,1961年他们还向上级政府请求恢复汉字。1980年代,由於中国改革开放的结果,朝鮮族社会再度出现要求恢复汉字的呼声,但是此时反对的势力也很强,双方就恢复汉字与否进行了激烈的争论。此时的报纸杂志有的开始对读者进行恢复汉字与否的调查,有的则直接恢复汉字的使用。
諺文(朝鲜字/韓字)

主条目:諺文
朝鲜语目前使用15世纪朝鮮世宗国王頒布的《训民正音》中的諺文來书写,这种文字有着很显着的独创特徵。朝鲜半岛南北的学者认为,諺文(한글/韓契)在极短的时间内被突然创造出来,整套文字系统几乎不受任何文字的影响,除了组字的时候字母排列规则受了汉字影响,以及长期以来从中国吸收来的汉语词汇的读音与汉语读音类似以外。而其他国家很多学者认为,韓文字母受八思巴字影响创制出来的。但依照1940年在庆商北道安东发现的训民正音解例本制
korean language
اللغة الكورية

تشریح نگارش (هوش مصنوعی)

زبان کره‌ای به عنوان یک اسم مرکب در زبان فارسی، دارای قواعد خاص نگارشی و گرامری است. در زیر به برخی از این قواعد اشاره می‌شود:

  1. استفاده از حرف اضافه: در متون رسمی، می‌توان از حرف اضافه "زبان" به همراه "کره‌ای" استفاده کرد. به عنوان مثال: "زبان کره‌ای".

  2. نقطه‌گذاری: در جملات، باید توجه داشت که اگر "زبان کره‌ای" در وسط جمله قرار بگیرد، قبل و بعد از آن باید علائم نقطه‌گذاری به درستی استفاده شود. مثلاً: "من زبان کره‌ای را یاد می‌گیرم."

  3. فعل: اگر بخواهید صحبت از یادگیری زبان کره‌ای کنید، معمولاً فعل "یاد گرفتن" یا "آموختن" به کار می‌رود. مثلاً: "من زبان کره‌ای را یاد می‌گیرم."

  4. حروف بزرگ و کوچک: در نوشتار رسمی، واژه "کره‌ای" باید با حرف بزرگ نوشته شود، زیرا نام یک زبان است.

  5. معنای کلمات: بهتر است زبان کره‌ای را با توجه به بافت جملات و متن، در معنا و مفهوم درست به کار ببرید.

به طور کلی، رعایت این نکات به وضوح و زیبایی نوشتار شما کمک خواهد کرد.


500 کاراکتر باقی مانده

جعبه لام تا کام


لام تا کام نسخه صفحه کلید نیز راه اندازی شده است. شما با استفاده از کلیدهای موجود بر روی صفحه کلید دستگاهتان می توانید با وب سایت ارتباط برقرار کنید.
لیست کلید های میانبر

تبلیغات توضیحی


عرشیان از کجا شروع کنم ؟
تغییر و تحول با استاد سید محمد عرشیانفر

تبلیغات تصویری


کپی